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의 개념
개요
히키코모리는 일본어로 '은둔형 외톨이'를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1970년대부터 일본에서 나타났으며, 1990년대 초에는 일본의 경제 침체로 인해 더욱 심화되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히키코모리는 장기간 외출을 하지 않고 가족과 소통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들을 가리키며, 자신의 방에서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게임에 빠져서 밤낮이 뒤바뀐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일본 후생성은 해당 개인을 히키코모리로 분류합니다. 현재는 다양한 상담과 체험 프로그램, 정신과 치료 등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원인
히키코모리는 대개 사회생활을 시작한 후나 청소년기에 발견되며, 때로는 중년에 이르기도 합니다. 이들은 극심한 경쟁 사회에 대한 두려움, 학교나 직장에서의 고립감, 집단 내 괴롭힘 경험, 가족 간의 갈등, 부모 의존도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특히 자립성을 배우지 못한 경우나 자신감 결핍으로 인한 자해적 심리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히키코모리는 사회적 격리 상태에서도 자신을 확인할 수 있는 통로를 갖게 되어 사회적 고립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진단도 있습니다.
증상
대다수의 히키코모리는 6개월 이상, 때로는 10년 이상 외출을 하지 않으며, 가족과의 의사소통도 거의 없는 삶을 살아갑니다. 그들은 자신의 방 안에서 텔레비전이나 인터넷에 빠져서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할 때가 많습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우울증에 빠지거나 폭력적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대인 공포심과 경계심이 강하며, 때로는 자기 망상에 사로잡혀 불특정 타인에게 폭력 행위를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인간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여 인간성에 대한 상실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현황
일본에서는 히키코모리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왔습니다. 1990년대에는 약 130만 명이 히키코모리였으며, 2017년에도 대략 70만 명 이상의 히키코모리가 존재한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1990년대에 히키코모리 상태가 되어 장기간 고립되고 고령화된 경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18년에 40~50대 히키코모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이들을 사회로 재편입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2005년에 히키코모리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국의 사회 및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은둔형 외톨이의 개념을 재정의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은둔형 외톨이는 최소한의 사회적 접촉 없이 3개월 이상 집 안에 머물며, 사회 참여 활동을 하지 않고 있고, 친구가 없거나 자신의 상태에 대해 불안이나 초조함을 느끼는 청소년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정신병적 장애나 중증 정신 지체가 있는 경우에는 제외됩니다. 이에 따르면, 2005년에는 약 10만 명의 은둔형 외톨이가 파악되었으며, 2017년에는 대략 20~3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사회적 대책이 미비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