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
개요
소진증후군, 일반적으로 '번아웃'으로 불리며, 심리학 용어로, 정신적·신체적 피로로 인한 무기력 증상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탈진 증후군, 연소 증후군, 소진 증후군 등으로도 불립니다. 이 증후군은 우울증과 자기혐오와 같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누군가가 한 가지 일에 집중했다가 갑자기 모든 에너지가 소진되어 극도의 무기력 증세를 겪고 업무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이는 번아웃 증후군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우울증과 매우 유사하며, 번아웃 증후군으로 진단된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 진단 기준을 충족합니다.
원인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직장에서의 과도한 업무와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가장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업무에 지나치게 몰두하고도 기대한 대가를 받지 못하거나 좌절을 느끼는 경우에도 번아웃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감정 노동자나 까다로운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들, 그리고 사회적으로 높은 기대를 받거나 업무상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의 경우 번아웃 증후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회사의 도산이나 구조조정,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의 사망, 과로 등 극단적인 스트레스 상황도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번아웃 증후군이 더욱 악화되면 수면장애, 우울증, 심리적 회피와 같은 증상뿐 아니라, 과도한 소비나 알코올 의존 등 자기 통제가 어려워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감정적으로는 심한 무기력과 허무감을 느끼며 출근을 거부하거나 갑작스럽게 사직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단순한 슬럼프와 달리 가정 생활과 사회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충동적인 자살이나 돌연사로 이어질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1974년 미국의 심리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버거에 의해 처음으로 정의되었습니다. 그는 이를 '직업 생활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피로의 상태'로 정의하고, 번아웃 증후군의 12단계를 만들었습니다. 프로이덴버거는 이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쇠약해지며 의욕이 상실되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감정적인 황폐와 관련된 대인관계 문제 및 무기력으로 인한 직무 능률 저하도 번아웃 증후군의 결과로 보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공허감과 삶의 의미를 잃고 전형적인 우울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살 충동에 시달릴 수도 있습니다.
1996년 사회 심리학자 크리스티나 마스라쿠는 '마스라쿠 번아웃 인벤토리(Maslach Burnout Inventory)'를 통해 번아웃 증후군의 정의와 판정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2019년 5월에 열린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번아웃은 질병이 아닌 직업 관련 현상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이는 질병으로 분류할 경우 관련 기관에서 치료 및 관리를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질병으로 분류하는 것을 유보하면서도, 직장인의 보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성공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만성적 직장 스트레스"로 번아웃을 정의했고, 해당 증후군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집니다: 에너지 고갈과 소진, 일과의 심리적 괴리감 및 부정적 감정의 증가, 업무 효율의 급격한 저하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직업과 관련하여 나타나며, 직업과 무관한 일상 생활의 문제와는 구분됩니다. WHO는 번아웃 증후군을 질병으로 보기에는 아직 이른 것으로 판단하며, 직업과 관련된 번아웃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 현황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동시간이 길어 번아웃 증후군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휴식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이나 여행과 같은 취미생활을 즐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직장인들의 과로 문제와 함께 번아웃 증후군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개인의 삶을 보장하는 사회적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